C++ 관계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

2014.06.14 09:01

엘카 조회 수:474

참고 문서  
 C언어에서 거짓(false)에 해당하는 논리값은 숫자 0을 사용하여 인식하고 표현
한다. 
하지만, 참(true)에 해당하는 논리값은 0이 아닌 모든 값을 참으로 인식하고, 출
력으로 나타낼 때는 1로 표현한다. 
C 언어에서 논리값(true, false)의 인식과 표현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i, j;         
   printf("enter first number  : ") ;     
   scanf("%d", &i);     
   printf("enter second number  : ") ;     
   scanf("%d", &j);         
   printf("i < j : %d \n",  i < j );     
   printf("i <= j : %d \n",  i <=j );     
   printf("i > j : %d \n",  i > j );     
   printf("i >= j : %d \n",  i >=j );     
   printf("i == j : %d \n",  i == j );     
   printf("i != j : %d \n",  i != j );     
 
   return 0; 
} 



'참(true)' 또는 '거짓(false)'과 같은 논리값을 사용하여 논리 연산을 수행하며, 논
리 연산의 결과도 '참' 또는 '거짓'과 같은 논리값이 된다. 
논리곱(&&) 연산자와 논리합(||) 연산자는 이항 연산자의 형태를 가지지만, 부정(!) 
연산자는 단항 연산자의 형태를 가진다. 
&& : 논리곱 연산자, 두 피연산자가 모두 '참'일 때 '참'값을 돌려 받는다. 
||  : 논리합 연산자, 두 피연산자 중 하나만 '참'이더라도 '참'이 된다. 
!    : 부정 연산자, '참'인 경우 '거짓'을 돌려주고, '거짓'인 경우 '참'을 돌려 
        준다. 
논리 연산자 진리표 
논리 연산자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i, j;    
 
   printf("enter first number  : ") ;    
   scanf("%d", &i);    
   printf("enter second number  : ") ;    
   scanf("%d", &j);    
   printf("i>=100 && j>=100 : %d \n",  i>=100 && j>=100 );  
   printf("i>=100 || j>=100 : %d \n",  i>=100 || j>=100 );    
   i=0;    
   printf("i && j: %d \n",  i && j );    
   printf("i || j: %d \n",  i || j );    
   printf("!i : %d, !j : %d \n",  !i , !j );    
 
   return 0;  
}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43 구조체 포인터 2014.06.15 933
42 구조체의 선언과 데이터 입·출력 2014.06.15 3085
41 함수 포인터 2014.06.15 458
40 배열과 포인터 2014.06.15 408
39 포인터 연산 2014.06.15 385
38 포인터 변수 2014.06.15 415
37 데이터 정렬 2014.06.15 425
36 배열 초기화 2014.06.14 631
35 2차원 배열 2014.06.14 671
34 문자열 처리 함수 2014.06.14 413
33 문자열 입출력 함수 2014.06.14 442
32 접근 수정자 2014.06.14 825
31 전역 변수 2014.06.14 309
30 지역 변수(local variable) 2014.06.14 296
29 변수와 메모리 저장 위치 2014.06.14 429
28 비트 연산자 2014.06.14 289
» 관계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 2014.06.14 474
26 증감 연산자 2014.06.14 339
25 printf() 함수의 형식 지정자 2014.06.14 7523
24 열거 형 변수의 이해 2014.06.14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