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문서 |
---|
전위형(PREFIX)과 후위형(POSTFIX) 연산의 차이점
전위형으로 나타내면 변수의 값에 대해 먼저 증감 연산을 한후, 변환된 변
수의 값이 그 변수가 포함된 연산식에 적용된다.
후위형으로 나타내면 변수의 값을 연산식에 먼저 적용한 후, 변수의 값에
대해 증감 연산을 수행한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i=100, j=200; printf("i : %d , j : %d \n", ++i, j++); printf("i : %d , j : %d \n", i, j); printf("i : %d , j : %d \n", --i, j--); printf("i : %d , j : %d \n", i, j); i=j++; printf("i : %d , j : %d \n", i, j); return 0; }
댓글 0
번호 | 제목 | 날짜 | 조회 수 |
---|---|---|---|
24 | 구조체 포인터 | 2014.06.15 | 938 |
23 | 구조체의 선언과 데이터 입·출력 | 2014.06.15 | 3090 |
22 | 함수 포인터 | 2014.06.15 | 464 |
21 | 배열과 포인터 | 2014.06.15 | 414 |
20 | 포인터 연산 | 2014.06.15 | 390 |
19 | 포인터 변수 | 2014.06.15 | 421 |
18 | 데이터 정렬 | 2014.06.15 | 430 |
17 | 배열 초기화 | 2014.06.14 | 636 |
16 | 2차원 배열 | 2014.06.14 | 676 |
15 | 문자열 처리 함수 | 2014.06.14 | 418 |
14 | 문자열 입출력 함수 | 2014.06.14 | 448 |
13 | 접근 수정자 | 2014.06.14 | 830 |
12 | 전역 변수 | 2014.06.14 | 314 |
11 | 지역 변수(local variable) | 2014.06.14 | 302 |
10 | 변수와 메모리 저장 위치 | 2014.06.14 | 434 |
9 | 비트 연산자 | 2014.06.14 | 294 |
8 | 관계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 | 2014.06.14 | 479 |
» | 증감 연산자 | 2014.06.14 | 344 |
6 | printf() 함수의 형식 지정자 | 2014.06.14 | 7530 |
5 | 열거 형 변수의 이해 | 2014.06.14 | 4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