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문서 |
---|
고대
- 아름다움은 대상의 객관적 속성
- 미적 대상이 적당한 형태나 무게 등을 통해 미의 속성을 보유
- 미를 수학적으로 측량할 수 있다.
- 예) 황금분할, 황금비 (황금분할은 1:1.618)
근대
- 18세기 - 경험론, 취미론
- 미를 인식하는 주체의 주관에 중점을 두기 시작
- 대상이 가진 속성이 아니라, 느끼는 주체가 가진 관념
현대
- 칸트 / 쇼펜하우어
- 아름다움과 미적 대상은 별개이다.
- 미적 태도론: 미를 느끼는 주관자의 미적 태도에 따른다.
댓글 0
번호 | 제목 | 날짜 | 조회 수 |
---|---|---|---|
6 | 경제 1 | 2013.03.10 | 13953 |
5 | 디자인의 예술적 특성 | 2012.12.07 | 14512 |
4 | 디자인의 미적 근원 / 경험 | 2012.12.07 | 13939 |
3 | 디자인이란? | 2012.12.07 | 24192 |
» | 미학의 역사 | 2012.12.07 | 16234 |
1 | 미의 개념 | 2012.12.07 | 4202 |